손생님 노트
역류성식도염 본문
위산의 역할과 성질
위의 점막에서 분비되는 위산은 단백질 소화 효소인 펩시노젠을 펩신으로 활성화시키고, 음식물을 부드럽게 만들어 펩신과 같은 효소가 잘 작용하도록 합니다. 또한 pH 2-3의 강한 산성의 환경을 만들어 음식과 함께 들어온 여러 가지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소화기관을 통한 감염을 막아줍니다. 그러나 강한 산성을 띠기 때문에 위가 아닌 다른 조직에 닿으면 심한 손상을 불러일으킵니다. 위에서는 위산과 함께 분비되는 많은 양의 점액이 방어벽을 형성하여 위벽의 손상을 막습니다. 그러나 과음을 한다든지 아스피린과 같은 화학제품을 과다복용하면 방어벽이 무너져 위 조직에서 직접적인 손상이 오고 이는 위궤양이나 위암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역류성식도염의 증상
위산이 어떤 이유로 식도로 역류하게 되면 위점막에 염증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아래는 역류성식도염의 증상입니다.
1. 신물이 올라온다.
2. 배에 가스가 찬다.
3. 쓴 음식을 먹지 않았는데 쓴맛이 느껴진다.
4. 명치가 답답하고 타는듯한 통증이 있다.
5. 목에 걸린 것 같은 느낌이 든다.
6. 속이 더부룩하고 구역질이나 기침이 난다.
7. 입냄새가 심해진다.
역류성 식도염이 계속되면 식도 표피가 위벽처럼 변하는 바렛식도 (식도암과 연관성이 있습니다.)로 진행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 식도암이나 위궤양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치료방법을 찾으셔야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1. 식도 괄약근의 약화
소화관을 비롯한 여러 관 구조물에서는 출구를 조여주는 고리 모양의 근육인 괄약근이 있습니다. 수축과 이완에 의해 열고 닫는 작용을 하는데 항문괄약근이 가장 대표적입니다. 식도와 위 사이에도 괄약근이 있는데, 위장 내에 있는 위산이나 음식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커피, 초콜릿, 기름진 음식을 먹거나 야식을 먹는 습관, 흡연 등의 이유로 하부식도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줄어들게 되어 역류성 식도염이 발병할 수 있습니다.
2. 위산과다 분비
위액의 분비는 세 단계로 조절됩니다.
첫 번째 단계는 뇌의 지배를 받는 단계로, 맛있는 음식을 생각하기만 해도 위액의 분비가 증가합니다. 특히 배가 고픈 상황에서 맛있는 음식을 생각하면 더욱 많은 양의 위액이 분비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위에 음식물이 직접 들어가서 위벽을 확장 시키거나 화학적으로 위샘을 자극하는 상황입니다. 자극에 의해 가스트린이 분비되고 분비된 가스트린이 혈액을 통해 위벽세포를 자극하면 위액분비가 촉진됩니다. 세 번째 단계는 위에서 소화되기 좋은 상태로 바뀐 음식물이 십이지장으로 가면 음식물에 있는 위산 때문에 강한 산성을 나타내고, 이 산성기에 의해 십이지장의 점막에서 세크레틴과 같은 위액분비 억제 호르몬이 분비되어 위액분비를 억제합니다.
맛있는 음식을 자꾸 생각하게 되는 것은 막을 수 없지요^^ 그러나 습관적인 과식이나 폭식은 위의 압력을 높여 위산이 과다하게 생성되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비만, 임신 복수에 의해서도 위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유효한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즉, 잘못된 식습관 (자극적인 음식섭취, 폭식, 과식, 급하게 먹기), 식사 후 바로 눕는 습관, 식후 과격한 운동 등 사람들이 알고 있지만 잘 지키지 않는 생활습관이 큰 원인이 되기 때문에 경각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역류성식도염, 위에 좋은 음식들
양배추
비타민u가 위 점막을 보호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비타민k가 염증에 의한 출혈을 지혈합니다. 섬유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역류하지 않게 소화를 원활하게 돕습니다.
마
마에 들어있는 뮤신(끈적한 성분)이 위벽을 보호해줍니다. 또한 소화효소를 풍부하게 포함하여 소화를 돕습니다.
'in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염의 증상과 관절염에 좋은 음식 (0) | 2020.02.06 |
---|---|
마스크, 손소독제 매점매석에 대한 규제 (0) | 2020.02.05 |
장염의 원인, 증상과 관리법 (0) | 2020.02.04 |
어깨통증과 라운드숄더 (0) | 2020.02.01 |
강력하고 안전한 세균/바이러스 살균 소독제, 차아염소산수(hypochlorous acid, HClO) (0) | 2020.01.31 |